통일왕조 고려의 몰락, 고려 후기의 역사

고려 후기의 역사

고려 후기의 역사에서는 농업의 발전과 사회적 변화, 정치적 개혁의 과정이 깊은 의미를 갖습니다. 이 시기에 농업은 크게 발전하였고, 그 결과 사회적 구조와 정치적 상황에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고려 후기에는 농업이 크게 발전했습니다. 원나라와의 전쟁을 치르면서 고려는 여러 가지 기술적, 사회적 변화를 겪었고, 이로 인해 농업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특히 중국에서 도입된 인분 비료 사용 기술은 고려 농업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인분을 비료로 사용하는 이 기술 덕분에 한 토지에서 해마다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되었고, 농업 생산량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인구의 급격한 증가가 농업 발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습니다. 전쟁의 결과로 고려는 의술이 크게 발전하였고, 이로 인해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인구의 증가는 집약적인 농업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러한 농업 발전은 고려의 경제적 기초를 더욱 견고히 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귀족들은 이미 보유하고 있던 사전의 규모를 확대했습니다. 사전은 귀족들이 소유한 사유지로서, 이 시기에는 사회 질서의 혼란을 틈타 사전의 규모가 더욱 확장되었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 귀족들은 사전의 소유를 확대하며 농장을 운영하게 되었고, 이러한 농장에서는 전호나 노비들이 경작을 담당했습니다. 전호와 노비들 중에는 유민들도 포함되었고, 이들은 개인 농장에서 농사를 짓는 농노와 비슷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농장의 확대는 국가 재정을 불안정하게 만들었고, 이는 결국 관리들의 녹봉이 폐지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농장 소유의 확대는 국가의 재정적 부담을 가중시켰고, 이는 사회적 불안정을 초래했습니다.

농장이 없는 신진 사대부 관리들은 권문세가들에 대한 불만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신진 사대부는 무인 정권의 붕괴 이후 등장한 새로운 관료층으로, 학문적 역량과 정치적 실무 능력을 겸비한 인재들이었습니다. 이들은 권문세가들의 권력 집중과 부패에 반발하며 사회적으로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신진 사대부는 권문세가들의 부패와 세력 확대에 불만을 품었고, 이를 통해 정치적 개혁과 사회적 변화를 추구했습니다. 이들의 활동은 고려의 정치 체제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공민왕은 원나라의 쇠퇴와 명나라의 흥기에 따라 정치적 개혁을 시작했습니다. 대외적으로는 원나라의 압박에 반대하며 독립적인 외교 노선을 추진했고, 대내적으로는 권문세가를 억압하고 신진 사대부를 등용했습니다. 공민왕은 권문세가 출신들을 축출하고, 학문이 뛰어난 인재들을 등용하며 새로운 정치 체제를 구축하고자 하였습니다. 권문세가의 경제적 기반을 약화시키기 위해 도감을 설치하여 경제적 기반을 빼앗으려 했습니다. 또한 신진 사대부를 등용하고, 새로운 인재를 발탁하여 정치적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원나라의 영향력을 줄이고 국가의 자주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강화했습니다.

이러한 개혁은 권문세가의 강력한 반발로 인해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으나, 신진 사대부의 사회적 진출과 정치적 변화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공민왕의 개혁 이후, 수도를 개경으로 옮기자 삼별초 등 반란 세력들이 나타났습니다. 삼별초는 진도로 세력을 옮겨 저항을 계속하였고, 이후 제주도로 이동하여 항쟁을 이어갔습니다. 삼별초의 항쟁은 고려의 내부 갈등과 정치적 혼란의 상징적인 사건으로, 고려는 이들에 대한 연합군의 공격을 통해 진도를 함락시켰습니다. 삼별초의 저항은 고려의 정치적, 군사적 상황을 복잡하게 만들었고, 내부의 불안과 갈등을 드러내는 사건이었습니다.

고려 후기의 역사적 변화는 농업의 발전과 사회적 변화, 그리고 정치적 개혁의 복합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농업의 발전은 고려의 경제적 기반을 강화했으며, 신진 사대부의 등장은 권문세가와의 갈등을 통해 정치적 개혁의 필요성을 부각시켰습니다. 공민왕의 개혁은 권문세가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신진 사대부의 사회적 진출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삼별초의 저항은 고려의 내부 갈등과 외부 압박을 상징하는 사건이었습니다. 이러한 사건들은 고려 후기의 정치적, 사회적 변화의 핵심적인 측면들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고려 말의 정치

고려 후기의 역사적 전환점 중 하나는 원나라의 세력이 약화되기 시작하면서 고려의 공민왕이 주도한 반원 운동입니다. 원나라의 세력이 쇠퇴하는 가운데, 공민왕은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기 위한 여러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공민왕은 원나라의 영향력을 줄이고, 고려의 독립성을 회복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 신진 사대부들과 함께 대대적인 개혁을 단행하였습니다.

공민왕의 개혁은 권문세가들이 부당하게 빼앗은 재산을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고, 부당한 이유로 노비가 된 사람들을 양민으로 해방시키는 등의 조치를 포함했습니다. 그는 또한 국가의 재정과 정치적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권문세가들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혔고, 공민왕의 정치적 적들과의 갈등 속에서 결국 시해당하게 되었습니다. 공민왕의 사망은 그의 개혁 정책의 중단을 초래하였고, 권문세가들은 다시 정치 권력을 장악하여 고려 사회는 다시 문란해졌습니다.

권문세가들이 권력을 되찾으면서 신진 사대부들은 억압받았고, 권문세가들은 그들의 부당한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노골적인 토지 겸병 행위를 자행했습니다. 또한 반원 정책은 수정되어, 고려는 원나라와 명나라 사이에서 동등한 외교 관계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였습니다.

14세기 우왕의 최대 현안은 왜구의 격퇴였습니다. 왜구들은 급격히 창궐하면서 고려 곳곳에서 잔혹한 침략을 감행하였고, 세곡을 수송하는 조운을 마비시키는 등 큰 피해를 입혔습니다. 이에 대해 고려 조정은 일본 바쿠후에 왜구의 근절을 요청했으나, 일본 바쿠후는 내란 중이어서 효과적인 대응을 하지 못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최무선 장군의 노력으로 화통도감이 설치되었고, 화포가 제작되었습니다. 1380년대에는 금강 입구까지 쳐들어온 왜구 500여 척의 대규모 선단에 대해 화포 공격을 감행하여 그들의 배를 불태우고 퇴로를 차단했습니다. 이로써 내륙으로 침투한 왜구들도 이성계 등의 토벌군에 의해 완전히 소탕되었습니다. 1389년에는 고려군이 왜구의 소굴인 대마도를 정벌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군사적 성과는 왜구의 침입을 막고 고려의 안보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왜구 문제를 해결한 후, 우왕은 권문세가들을 대대적으로 숙청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토지 겸병으로 악명이 높았던 이인임 일당이 주요 대상이었고, 이 숙청 작업은 권문세가 출신이었으나 강직하고 청렴했던 최영과 신흥 세력인 이성계의 협력 아래 진행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권문세가의 기세는 크게 꺾였고, 신진 사대부들은 본격적으로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공민왕의 개혁 이후에도 정치적 긴장 상태는 계속되었습니다. 명나라가 쌍성총관부 지역을 내놓으라는 일방적인 통보를 하자, 최영은 원나라와 함께 명나라를 공격할 것을 제의했습니다. 고려와 원나라는 동북의 전진기지인 요동을 정벌하려 했으나, 이성계는 군사적 난점을 들어 이에 반대했습니다. 결국 이성계는 위화도에서 군사를 돌려 개경으로 향하면서 최영을 제거하고, 자신의 정권을 확립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은 고려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이후 그는 고려의 권력을 장악하고 새로운 정치 체제를 구축하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신진사대부의 멸망

이성계가 권력을 장악한 이후, 신진 사대부들은 권문세가와 사원이 소유하고 있던 농장들을 몰수하고 새로운 토지 제도를 도입하려고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신진 사대부들은 권문세가의 세력을 크게 약화시키는 데 성공했지만, 권문세가들은 여전히 반발을 계속했습니다. 이성계는 이러한 반발을 진압하며 자신이 세운 새 정권의 기틀을 다지기 위해 다양한 개혁 작업을 단행했습니다.

권문세가들의 세력 축소와 함께, 폐위되었던 우왕의 아들 창왕이 왕위에 올랐지만, 권문세가들은 여전히 그들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성계는 창왕마저 폐위시키면서 신진 사대부들에게 주도권을 완전히 넘겨주었습니다. 이로써 고려의 정치적 주도권은 신진 사대부들에 의해 장악되었고, 본격적인 정치 개혁이 시작되었습니다.

주도권이 신진 사대부들에게 넘어가면서, 이들은 전국의 토지를 측정하고 정리하는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기존의 공사 전적들은 모두 불태워졌고, 새로운 토지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사전이 몰수되었고, 국가의 세수 대상 토지가 확보되었으며, 이를 통해 국가 재정이 크게 확충되었습니다. 또한, 신진 사대부들은 관료들에게 경제적인 보상으로 과전(토지)을 지급하며, 정치적 기반을 강화했습니다.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 교체는 단순한 국가의 멸망이 아닌, 왕실과 왕조의 교체를 의미했습니다. 삼국 시대와는 달리,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변화는 국가의 영토와 국민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왕실만 바뀌는 형태의 정권 교체였습니다. 이는 고려와 조선 간의 정치적 연속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변화를 보여줍니다. 새로운 조선 왕조는 기존의 고려 국가 체제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정치적, 사회적 개혁을 진행하였습니다.

이성계는 권문세가들의 세력을 축소하고 신진 사대부들의 권한을 강화하면서 국가의 재정과 행정을 정비하였습니다. 이러한 개혁 조치는 고려의 지배 체제를 현대화하고, 조선 왕조의 기틀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신진 사대부들의 주도로 진행된 토지 개혁과 국가 재정의 확충은 조선의 안정적 출발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되었고,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이행 과정에서 국가 체제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조선의 건국 이후, 이성계는 기존의 고려 체제를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정치적 이념과 제도를 도입하여 국가의 기틀을 새롭게 다졌습니다. 고려의 정치적, 사회적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조선은 보다 안정적인 통치 구조를 구축하고,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로써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 교체는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 국가의 연속성과 발전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고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