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멸망 그 이후의 나라, 원삼국시대
이 시기는 기원전 300년부터 기원후 300년까지 약 600년간 이어졌습니다. 역사적으로는 고조선이 멸망하거나 쇠퇴한 후, 부여가 건국되는 시기부터 삼국이 건립된 초기 시기를 말합니다. 철기 문화가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농경 생활이 크게 개선되고, 목축업과 어업도 발달하였습니다. 이러한 산업 발달을 바탕으로 부여, 삼한, 고구려, 옥저, 동예 등의 국가들이 등장하였습니다.
고조선을 멸망시킨 중국의 한나라가 점차 쇠퇴하면서 여러 부족국가들은 서로 통합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등장한 국가들이 바로 신라, 고구려, 백제의 삼국입니다. 이 세 나라는 중국의 위진남북조 문화를 수용하고 문물 제도를 정비하였습니다. 국가 체제를 갖추면서 철기 문화를 더욱 발전시키고 재편성하였습니다.
고구려의 등장
고구려는 부여에서 발전한 나라로, 위치 특성상 주변에 많은 적대국들이 있었습니다. 주위의 강력한 군사력을 가진 나라들과 치열한 싸움을 이어가며 초기 부족 연맹을 형성하였습니다. 6대 태조왕 때에는 부족 간 연맹 세력의 영도권이 확립되면서 고대 국가 성립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고구려는 대외적으로 중국과 많은 교류를 했으나, 문화, 정치, 경제적으로 중국에 크게 의존하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삼국 중 가장 먼저 자립성을 가진 고대 국가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고구려는 철기 시대 초기에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지리적인 이점과 기동성이 강한 사회 제도 덕분에 강력한 국가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고구려는 중국의 식민지가 된 다른 토착 사회들과는 달리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동천왕 때에는 오나라를 통치하기도 하였으며, 다른 민족과도 외교관계를 맺으며 국제적 위치를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나라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많은 외부 압력을 받았지만, 이러한 항쟁 과정이 고구려를 고대 국가로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백제의 등장
백제의 초기 이름은 십제였습니다. 이후 더 큰 나라를 만들면서 백제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십제는 한강 이남 지역의 토착 세력으로, 마한뿐만 아니라 변한과 진한에서도 종주권을 주장하였습니다. 이들은 북쪽의 고구려와 대등할 정도의 세력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삼한 지역의 성립과 고조선 사회의 해체 등으로 인해 많은 이민 집단이 남하하였고, 수많은 이민족과 토착 족들이 국가를 이루어 각지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따라서 지배력이 한강 유역에 집중되지 못하였고, 여러 민족들의 정치적, 경제적 조정이 있어 이 지역 국가 형성이 늦어졌습니다.
십제는 여러 유물들로 보아 부여계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한강 북쪽 지역인 현재의 서울 위례 부근에 도읍을 정하고 부족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이후 한강 이남으로 이주하였으며, 대표적인 유적지인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십제는 고구려와의 관련성을 가지면서도 고구려만큼 강력하지는 않았습니다. 이들은 고구려를 본받아 지배 기구를 성립하려 했으나, 완전히 같지는 않았습니다. 영역을 5방으로 나누어 정비하였으나 부족 명이 드러나지 않고, 8대성이 십제 왕실과 관련이 적은 세력이었다는 점에서 고구려와 차별화되었습니다. 또한 관제에서도 고구려적인 성격보다는 중국의 관제를 모방하는 모습이 많이 보였습니다.
신라의 등장
동쪽의 신라라는 나라는 고구려가 절정을 맞이하던 때에 삼국 세력으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신라는 대동강 유역과 경주 지역에 건국되었으며, 청동기가 가장 많이 발견된 곳입니다. 남아있는 기록에 따르면, 신라는 대략 3세기에 강국으로 등장합니다. 신라에는 박, 석, 김씨의 시조 설화와 계보가 있는데, 이들 3성 부족이 서라벌 일대에 자리 잡고 조직한 초기 부족 연맹에서는 박, 석, 양 부족이 토착 부족인 김 부족보다 우세하였습니다. 그래서 이 시점의 부족 연맹장은 미추 이사금을 제외하고 박, 석, 양씨가 교대로 선출되었고, 이후 김씨 세습권이 확립되었습니다.
신라의 6촌과 박, 석, 김 3부족과의 관계는 초기 신라 부족이 박, 석, 김 부족이 주체가 되어 있다가 다른 6부족과의 연맹 관계로 성장하였음을 보여줍니다. 그 뒤로 고대 국가가 되면서 주체 부족들이 서라벌에서 귀족 조직을 편성한 것으로 보입니다.
고고학계에서는 원삼국시대와 원사시대(선사시대와 역사시대의 중간시대)를 합쳐 원삼국시대라고 합니다. 이 시기는 국가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삼국시대 초기를 부정하는 뜻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최근에는 이 명칭의 고고학적 특징이 없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이 시기를 열국시대나 삼한 시대로 부르기도 합니다.